[울진]가을에 물든 울진여행

Posted by 내일인화

2014. 11. 18. 23:17



경상북도의 북동쪽 끄트머리에 위치한 울진.

11월에는 단풍으로 한창 물든 울진을 여행했다.







울진에 도착하여 첫 점심 식사를 한 곳. 

토실한 강아지가 애살있게 우리를 맞이해 주었다. 





점심으로는 소머리국밥을 먹었는데,

뜨끈한 국물이 온몸을 녹여주는게, 이제 정말 겨울이 다가오는 것 같았다.





첫 방문지는 불영사였다. 가는 길이 온통 울긋불긋하더라니, 

불영사 역시 단풍으로 붉게 물들어 있었다. 거기다 갓 내린 비로 촉촉하게 젖어 마치 한 폭의 수채화 같았다.





불영사로 가는 길은 내도록 아름다웠다.

도시에서 학생의 본분에 충실하며 살다보면 

가을의 단풍을 놓치기가 일쑤인데, 불영사의 단풍이 그러한 아쉬움을 충분히 달래주었다.





불영사로 가는 길은 깨끗하게 닦여 있었으며, 

고즈넉한 분위기가 인상적이었다.  






불영사 계곡은 생태보호지역이며, 

보기 드문 꼬리진달래와 백리향을 비롯해 560여 종의 식물이 자생하고 있다. 

불영사는 주변의 자연환경생태 보존을 위해서도 계속 노력하고 있다고 한다.


천축산을 끼고 도는 불영사 계곡은 

단풍으로 생동감이 도는게 꼭 영화 속 한 장면 같았다.





내년 가을엔 가족들과 다같이 방문하고 싶다는 염원을 담아 돌을 몇 개 얹었다. 




불영사는 651년에 의상 대사가 창건했다고 하며, 다음과 같은 창건설화가 전해진다. 


의상 대사가 동해로 향하고 있던 중 계곡에 어린 오색의 서기를 발견하고 가 보니 연못 안에 아홉 마리의 용이 있었다. 

이에 도술로 가랑잎에 '火'자를 써서 연못에 던지니 갑자기 물이 끓어올라 용들이 견디지 못하고 도망을 쳤는데 

그 자리에 절을 지었다고 한다. 그 뒤 의상 대사가 다시 불영사를 방문했을 때 한 노인이 '부처님이 돌아오시는 구나'라고 하여 불귀사라고도 불렸다. 

(출처: 불영사 홈페이지)






문화해설사님과 함께 절을 돌며 법당 위에 작게 그려진 거북이도 찾고,

절 이곳저곳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불영사에는 인현왕후와 얽힌 이야기도 있다. 


인현왕후가 희빈 장씨의 모함으로 폐출을 당하고 자결을 결심하였을 때, 

꿈에 백발 노승이 나타나 말하기를 3일만 더 기다리면 좋은 소식이 있을 것이라며 자신은 불영사의 중이라고 소개하였다. 

인현왕후는 이를 기이하게 여기고 3일을 더 기다렸더니 과연 왕이 복위시킨다는 전갈이 왔고 다시 왕후에 오르게 되었다. 


인현왕후는 이러한 꿈이 너무도 신기하여 불영사에 사람을 보냈는데 1516년에 돌아가신 양성법사의 화상이 그와 같았다고 한다. 

그리하여 부처님의 은공을 갚기 위하여 불영사를 중심으로 사방 10리 안에 있는 땅을 불영사에 시주하였다고 한다.






첫째날의 일정을 마치고 민박집으로 들어와 저녁식사를 하였다.





둘째날은 아침부터 금강소나무숲길 1구간을 걷는 일정이었다. 

도천리에서 소광리까지 걷는 것으로, 약 13.5km를 걷는다.

탐방은 예약제라 사전에 예약을 해야 한다. 

또한 가이드를 동반해야하는데, 금강소나무 숲길을 보호하고 동식물의 삶터를 보장해주기 위해서이다. 


가벼운 몸풀기 운동을 하고 우리는 숲길로 출발했다.







울진내성행상불망비이다.

조선시대 말 울진과 봉화를 오가며 상행위를 하던 행상들이 접장 정한조와 반수 권재만의 은공을 기릭자 세운 것이다. 

이 불망비는 보기 드물게 철로 만든 비로, 당시 울진지역 상품의 유통경로와 장시를 이해하는데 역사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크다.






이렇게 숲 해설사님을 따라 함께 등반을 하였다.

비에 젖은 나무와 흙의 냄새가 상쾌했다.






금강소나무숲길은 사람만의 길이 아닌, 숲에 사는 많은 생명이 함께 이용하는 길이다. 

산양은 금강소나무숲길 주민 중 하나이다.





조령성황사이다.

보부상들이 지역주민들과 함께 세운 성황당이다. 

보부상들은 이 성황당을 지날 때 신변의 안전과 성공적인 행상을 기원하였다. 






이 금강송 군락지는 우리 전통 소나무의 원형을 가장 완전하게 보전함으로써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금강송 목재는 왕궁과 종묘 등 국가의 중요한 건축에만 사용되며, 붉은빛을 띈다.